컴퓨터 IT관련지식

알아두면 좋은 IT 관련 용어

myulzul 2014. 6. 20. 09:11

리버스엔지니어링 【reverse engineering】

읽기 : 리버스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등을 분해, 또는 해석하여, 그 구성이나 사양, 목적, 구성부품, 요소 기술을 명백히 하는 것. 프로그램 분야에서는, 모듈 간의 관계 해명이나 시스템의 기본 사양의

 

분석 등의 행위도 포함한다.

 

리버스엔지니어링은, 기업이 타사 제품과의 호환 제품을 만들기 위해 행하는 경우가 많다. 세이코 엡손이 리버스엔지니어링에 의해 NEC의 PC-9800시리즈의 호환 PC를 개발한 예는 매우

 

유명하다. 기업의 제품에는 특허나 저작권이 포함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 이므로, 해석 결과를 이용할 때에는 지적소유권을 침해 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그다지 좋은 이미지는 아니지만, 사양서와 실장의 미스를 지적하거나, 세큐리티 홀 이나 버그의 발견에 공헌 하는 등, 시스템 보수, 세큐리티 강화 면에서는 필요하다.

커스터마이즈 【customize】

읽기 : 커스터마이즈

 

소프트웨어의 설정이나 설계를 조정하여, 유저의 기호에 맞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기업내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위 설정을 그 기업 전용으로 조정하여 사내에 배포하는 것도 있는데,

 

이것도 커스터마이즈의 일종이다. 소프트웨어에 따라서는 여러개의 요소 기능을 분리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인스톨(도입) 할때 유저가 어느 기능을 도입 할지를 선택 할 수 있도록 되

 

어있다. 이것은 인스톨에 있어서의 커스터마이즈라고 할 수 있다.

PMP 【프로젝트 매지니먼트 프로페셔널】

읽기 : 피엠피

 

스펠 :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인정하고 있는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에 관한 국제 자격.

PMI가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로서 정리한 지식체계에 준거하여 시험이 이루어지며, 수험자에게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체계화 된 접근, 방법론, 사례에

 

관한 지식을 묻는다. 체계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 된 수험자에게 PMP 인증이 주어진다.

PMP자격은 [Category1]과 [Category2]로 분리된다. Category1은 수험자격으로 대졸 이상,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업무 4500시간/3년 이상 경험이 요구된다. Category2는 고졸(정도), 프로

 

젝트 매니지먼트 업무 7500시간/5년 이상 경험이 요구된다. 양쪽 모두 PMI가 인정항 교육기관의 프로그램을 35시간 이상 수강해야만 수험 자격이 주어진다.

시험에 합격하면 일정기간 마다 [CCR](continuing Certification Requirements:계속인정요건)이라 불리는 프로그램을 이행 할 것이 요구되며, 이를 만족하지 않으면 자격인정이 말소된다.

 

CCR을 대신하기 위해서는 PDU라 불리는 단위를 3년 마다 60포인트 이상 취득할 필요가 있다. PDU 취득은 인정을 받은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하거나, 전문 기사의 집필, 강연활동으로 얻어

 

진다. PMP취득자는 3년마다 자신의 활동을 PMI에 신청하여, 60 PDU 이상의 활동이 인정되야만 한다.

PMP는 PMBOK와 함께 사실상 전 세계 표준이며, 국가나 문화를 넘어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능력을 평가하는 수단으로서 여러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벤더 【vendor】

읽기 : 벤더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 제품 메이커나 판매 대리점을 뜻한다. 어느 특정 회사의 제품만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싱글벤더], 여러 회사 제품을 조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멀티

 

벤더]라고 한다.

RFP

읽기 : 알에프피

 

스펠 : Request For Proposal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있어서, 유저가 납입을 희망하는 벤더에게 제공하는 도입시스템의 개요나 조달 조건을 기술 한 문서.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의 시스템 개요, 의뢰사항, 보증용건, 계약사항 등이 기술 되어 있으며, 벤더는 이것을 베이스로 하여 제안서를 작성한다. 유저는 벤더의 제

 

안서를 평가하여 계약을 체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인원 등을 조달한다.

 

이제까지 정보시스템 업계에서는 구두로 한 약속이나 애매한 발주에 따른 개발현장에서의 혼란, 분쟁 발생, 납입 지연, 시스템장애 등에 시달려 왔다. 사전에 RFP를 통해 조달 조건이나 계

 

약내용을 명백히 해 놓음으로써, 이러한 혼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SaaS  【사즈】

읽기 : 사즈

 

스펠 :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의 기능 중에서 유저가 필요로하는 것 만을 서비스로서 배포하여 이용 가능 하도록 한 소프트웨어의 배포형태이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로도 불린다.

유저는 필요한 기능만을 필요할 때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하는 기능 만큼만 요금을 지불한다. 필요한 기능을 유저가 다운로드하여 자신의 단말에 인스톨 하는 형태의 것과, 서버 상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으로 이용하는 형태가 있다. 최근에는 후자의 형태가 주류가 되고 있다.

일반 소프트웨어는 모든 유저에게 필요한 기능을 모두 묶어서, 모든 유저에게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어떤 한 사람의 유저에게는 그다지 필요가 없는 기능이 상

 

당 수 탑재되어 불필요한 것이 되며, 필요 없는 기능에 대해서도 요금을 지불한 꼴이 된다. 이에 개개의 유저가 정말로 필요로 하는 기능 만을 온디맨드로 이용 가능하며, 그 기능에 대해서

 

만 요금을 지불하는 SaaS 라는 발상이 등장하게 되었다.

SaaS 라는 용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으로 이용 한다는 점에서 ASP 서비스와 비슷하며, 일반적인 ASP 서비스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ß버전

읽기 : 베타버전

 

별칭 : 베타 리리스, beta release, ß리리스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버전이다. 특히, 제품버전(무상 소프트웨어의 경우는 정식 배부버전)의 직전 단계의 평가버전으로, 관계자와 주요 고객 등에게 배부되어, 성능과 기능, 유저 입장에서

 

바라 본 이용 상의 편의성 등이 평가되는 버전을 말한다. 베타버전은 다른 테스트 버전과 비교하면 버그(bug)(프로그램의 착오)의 삭제를 주 목적으로 하며, 정식버전의 기능을 일괄적으로

 

완비한 완성품에 가까운 상태이지만, 버그가 존재 하거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베타버전

 

도 있다.

VAR 【부가가치재판업자】

읽기 : 바

 

스펠 : Value Added Reseller

 

시판의 패키지 소프트에 유저가 희망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다시 판매하는 업자.

솔루션 【solution】

읽기 : 솔루션

 

업무상의 문제점 해결이나 요구의 실현을 위한 정보 시스템이다. 전문 업자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시스템 설계를 하여, 필요로 하는 모든 요소(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회선, 서포트

 

원 등)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의미가 광범위 한 용어이며, [커스터마이즈 된 제품]이나 [여러 제품을 조합한 패키지 상품]등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솔루션 구축을 하

 

는 업자를 [시스템 인테그레이터], [시스템 프로바이더], [솔루션 프로바이더], [솔루션 벤더] 등으로 부른다.

WBS

읽기 : 더블유비에스

 

스펠 : Work Breakdown Structure

 

프로젝트메니지먼트로 계획을 세울 때에 이용되는 수법의 하나로, 프로젝트 전체를 작은 작업 단위로 분할한 구성도이다. [작업분할구성], [작업분해도] 라고 불려진다.

WBS에서는 우선 프로젝트의 성과물을 가능한 한 작은 단위로 분해한다. 그 때, 전체를 큰 단위로 분할하고 난 후, 각각의 부분에 대해 좀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하여, 계층적으로 구성화 해

 

나간다.

성과물의 세분화가 끝나면, 각각의 부분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작업(한가지 이상의 작업일 때도 있음)을 생각하여, 최하층에 배치해 간다. 각각의 부분을 구성하는 일련의 작업 단위를 [워

 

크 패키지]라고 한다. WBS의 각각의 워크패키지에 담당인원을 배치하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조직도가 생성된다. 이것을 OBS(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라 한다.

<출처:네이버오픈백과>

'컴퓨터 IT관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Blockchain)  (0) 2023.04.12
AI 인공지능  (0) 2023.04.12
누리호  (0) 2023.04.12
해킹의 의미  (0) 2023.04.12
컴퓨터 용어 정리  (0) 2014.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