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절차
(1) 아이디어 창출 → 제품선정 → 제품설계
(2) 제품설계 : 1차 제품설계 → 시험용 모형 → 시장시험 → 최종제품설계
(3) 최종제품설계 : 기능설계(기능·성능의 구체화), 형태설계(제품 외관에 대한 설계),
생산설계(기능과 형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경제적·효율적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
※ 예비공정설계는 예비(1차)제품설계와 최종공정설계는 최종제품설계와 각각 동시에
개발하는 것이 효율적
(4) 신제품 도입전략
: 시장조사 실시(시장지향적 전략) → 태스크포스조직(다기능간 협력전략)
→ 연구개발(기술지향적 전략)
2. 가치공학(VE)과 가치분석(VA) : 주로 도입기에 실시
(1) 원가절감을 위하여 사용하는 기법 : '가치 = 기능/원가'에서 기능의 향상은 드문 일
(2) 가치공학 : 제품·공정의 설계분석에 치중, 기능과 원가 분석을 하여 낭비제거나 기능
개조를 위한 대안 개발, 제품이나 공정의 기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원가를 절감하거나 일정한 원가로 기능을 향상시킴
(3) 가치분석 : 구매품의 원가 절감에 치중, 품목의 재설계나 결합을 통한 단순화와
표준화 가능성, 불필요한 특성의 포함 여부, 원재료비·노무비·제조간접비
등의 적절성, 더 저렴한 공급처의 존재여부
(4) 가치혁신(VI) : VA, VE 를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의 모든 단계에 걸쳐 전개
3. 동시설계
(1) 의의 : 제품설계와 공정설계를 공통의 활동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것
(2) 목표 : 제품개발시간의 단축·비용절감·품질향상을 동시에 달성하면서 성공적인
신제품을 개발하는 것
(3) 특징
┌ 다기능팀의 구성, 팀워크 중시, 협력하는 경영방식
│ 전반적인 제품개발과정 단축, 시행착오로 인한 재작업률 감소
└ 설계·검사·원형개발과정에서 설계부서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부서의 의견이 반영
4. 제품-공정 혁신
(1) 유동적 단계(도입기) : 범용설비, 유연성이 목표
(2) 반자동화 단계(성장기) : 개별적 기계화
(3) 완전자동화 단계(성숙기) : 제품·공정이 상호의존적, 제품·공정의 분리가 어려움,
목표는 원가절감
<출처:네이버오픈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