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압실린더의 원리
유압실린더의 원리를 살펴보면
위 두개의 그림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유압실린더 입니다.(단동실린더)
위의 그림에서 F 지점에 있는 입구로 유압이 작용하면 E 부분이 위로 올라가는 형태입니다. 자동차를 들어 올리는 유압 젴에 쓰이는 형태이지요..., 그리고 E부분을 다시 내려오게 하려면 유압펌프의 유압을 제거하거나 또는 F지점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를 통해 유압을 제거해 주면 됩니다.
* 들어올리기만 할 뿐 내려올때는 유압을 제거하면 힘을 쓰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내려오기만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유압실린더는 한쪽 방향으로 밖에 힘을 주지 못합니다. 양쪽 방향으로 힘을 줄 수는 없는 거지요...예를 들어 포크레인에 적용을 하고 싶어도 포크레인의 팔을 펼 수만 있고 오므릴 수가 없다면 소용이 없겠지요...
이런형식의 유압실린더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차량의 젴(흔히 제끼라고 부름 <== 일어식 표현), 차량의 브레이크 실린더(밟으면 유압이 작용하여 브레이크를 잡아주고 풀어주면 유압이 없어짐...)
그래서 양쪽방향으로 힘을 줄 수 있는 실린더가 개발되었습니다. 이를 복동실린더라고 합니다.
요렇게 생겼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오른쪽에 코크처럼 튀어 나온부분이 두개 있습니다. 위쪽 입구에 유압을 작용시키면 실린더가 내려오고 아랫쪽에 유압을 작용시키면 실린더가 올라갑니다.
그런데 위의 E부분에다 한쪽이 고정되어 있는 로드를 달고 그 로드의 끝에 삽을 단다면 땅을 파거나 밀 수 있는 포크레인이 되는 겁니다.
또 불도우저에 단다면 불도우저의 삽을 오르내리게 하는 힘을 줄 수 있고, 나아가서 항공기의 바퀴다리에 달면 바퀴다리를 접히고 펼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됩니다.
여기서 더 발전하게 되면 어져스팅이 가능한 복동형 유압실린더, 중간이 비어 있는 중공 복동형 유입실린더 등 등 복잡하게 발전하게 되는데 기본적인 원리는 위의 두가지라 하겠습니다.
2. 유압실린더의 용도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거의 모든 산업기계에 사용된다고 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겁니다.
포크레인, 불도우져, 페이로더 등 중장비 뿐 아니라 일반 자동차의 브레이크...
* 포크레인을 비롯한 중장비를 보면 팔에 은빛실린더(실제로는 크롬도장임)가 있고 그 위 아래로 각종 호스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유압실린더 입니다.
나아가서는 항공기의 바퀴다리계통, 항공기의 조종면 등등. 항공기의 조종면도 유압을 사용합니다. 어느정도 움직일까에 대한 센싱 및 통제는 전기적으로 하지만 실제로 움직이게 하는 데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됩니다.
작게는 실험실의 각종 실험기구에도 사용됩니다. 경도계, 인장압축계 등 등
현대 사회에서 힘을 써야 하는 거의 모든 곳에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합니다.(전기 엑추레이터도 사용하지만 그 힘의 크기에 있어 전기 엑추레이터는 유압실린더를 당해 내지 못합니다.)
<출처:네이버오픈백과>
'업무상 필요한 지식, 자료,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압출 (Co-Extrusion) (0) | 2014.03.06 |
---|---|
공압기술의 역사와 특징 (0) | 2014.03.06 |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간단한 블리딩. (0) | 2014.03.06 |
유압실린더 (0) | 2014.03.06 |
표준 볼트의 조임 토크에 대해 적용규격및 설명 (0) | 201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