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의 이해
1. 제도의 뜻과 역할
① 제도(drawing)의 뜻 :
선, 문자, 기호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idea)이나 물체의 모양, 크기, 구조, 재료 등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
② 제도의 발달 과정
ㆍ초기의 제도
-자신의 의사 전달 표현 방법 : 그림, 기호 등을 이용
-자신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약속이나 규칙없이)
-동굴의 벽화(제도의 시초)
ㆍ오늘날의 제도
-복잡하고 다양한 물체의 정보를 나타냄.
-공업 분야를 중심
-선, 문자, 기호 등의 정해진 규칙에 따라 표현
③ 제도 작업
ㆍ손 작업 → 기계 작업 → 컴퓨터의 이용
:정확하고 쉽게 할 수 있다.
ㆍ다양한 색깔을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표현이 가능
④ 제도의 역할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고 개선하는 역할
-아이디어의 형성(ideation)을 도와주는 역할
-제도의 기법이 불필요하다.
⹂설계자의 의도를 제작자, 소비자와 같은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역할
-통신(communication)의 역할
⹃정보를 문서로 기록하고 보관하는 역할
-가장 높은 수준의 제도 기법
2. 제도에 쓰이는 도구
[1] 여러 가지 자
① 제도에 쓰이는 자의 종류
-T자 : 주로 수평선을 그을 때,
수직선이나 빗금을 그을 때는 삼각자의 안내 역할
-삼각자 : 한 각이 60˚인 직각삼각자,
두 각이 45˚인 이등변삼각자 2개가 1조
-운형자 : 불규칙적인 곡선을 그릴 때 사용
-삼각 축척자 : 일정한 비율로 길이를 줄일 때 사용
[2] 제도기
① 품종의 종류
-컴퍼스 : 일반적으로 원을 그릴 때 사용
-스프링 컴퍼스 : 작은 원을 그릴 때 사용
-디바이더 : 선분을 등분하거나 치수를 옮길 때 사용
-먹줄펜 : 먹물로 선을 그을 때 사용
-이음대 : 컴퍼스에 연결하여 큰 원을 그릴 때 사용
[3] 만능 제도기
① T자, 삼각자, 각도기 등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
② 제도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이다.
③ 제도의 능률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4] 컴퓨터
① 캐드(CAD)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면을 그리고 관리
② CAD의 장점
-도면을 정확하게 그릴 수 있다.
-쉽게 수정할 수 있다.
-저장이 편리하다.
-필요시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다.
3. 도면의 종류 ① 용도에 따른 분류 : 제작도, 설명도 ② 내용에 따른 분류 : 전개도, 배선도, 조립도, 부품도 | |||||
|
▷ 도면의 종류 |
| |||
|
분류 방법 |
종 류 |
도면의 내용 |
| |
|
용도에 따른 분류 |
제작도 |
제작에 사용하는 도면으로 모양, 크기, 재질, 정밀도 등을 정확히 기입한 도면 |
| |
|
설명도 |
사용자에게 제품의 구조, 성능, 다루는 방법 등을 설명한 도면 |
| ||
|
내용에 따른 분류 |
전개도 |
제품, 구조물의 표면을 평면으로 펼쳐 그린 도면 |
| |
|
배선도 |
전기 기구와 전선의 종류, 배치 상태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
| ||
|
조립도 |
제품 전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 |
| ||
|
부품도 |
기계를 구성하는 부품을 개별적으로 그린 도면 |
| ||
|
|
|
|
| |
|
2】제도와 아이디어의 형성 1. 아이디어의 형성과 제도 ① 제도와 아이디어의 관계 ㆍ제도는 어떤 문제를 풀거나 새로운 제품을 설계하기 위해 아이디어 를 구상하고 형성하는 과정에서 많이 사용 ㆍ제도는 여러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색하거나 구상한 아이디어 를 개선하여 좀더 발전된 아이디어를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역할 | |
제 도→ ㆍ문제 해결, 신제품 설계 ㆍ아이디어 구상, 형성하는 과정 ㆍ아이디어 탐색, 구상한 아이디어 개선 ㆍ발전된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역할 → 스케치 | |
② 스케치(freehand sketch) : 설계자가 손으로 자유롭게 그리는 방법 ㆍ치수, 문자, 기호 등의 사항을 기입 ㆍ자신의 생각을 말, 글로 쉽고 정확하게 표현 ㆍ일정한 규칙이나 형식이 없고 자유롭게 표현 ㆍ도면 위에 빠르게 나타냄 ㆍ자나 각도기를 사용하지 않음 <실습> -자동차를 스케치하여 보기 2. 스케치 기법 [1] 외형 틀 그리기(CRATING) : 외형을 그릴 때 사용 ㆍ직육면체의 틀 → 틀 안에 물체의 외형을 그리고 → 세부사항 [2] 원 및 곡선 그리기 :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임 ㆍ평행사변형 틀을 이용 |
제도와 통신 및 문서화 1. 통신 및 문서화와 제도 ① 효율적인 통신(communication) ㆍ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다른 사람이 이해해야 한다. ㆍ도면을 통하여 정확한 통신을 해야 한다. ㆍ한국 산업 규격(KS)에서는 효율적 통신과 문서화(documentation)를 위해 규정해 놓았다. ② 한국 산업 규격(KS) ㆍ문자의 크기, 양식, 선, 문자, 기호, 도형의 표시 방법, 척도, 치수 기입 방법 2. 제도 통칙 [1] 도면의 크기 : 제도 용지의 크기에 따라 구분(AØ ∼A4) [2] 도면의 척도 ① 척도 : 물체를 도면에 그린 크기와 실물과의 비율 ② 척도의 종류 -현척 : 물체를 도면에 그린 크기가 실물의 크기와 같다. -축척 : 실물의 크기보다 작으면(큰 물체를 그릴 때) -배척 : 실물의 크기보다 크면(작은 물체를 그릴 때) | ||||||
구 분 |
도면에서의 크기 : 실제의 크기 |
|||||
현 척 |
1 : 1 | |||||
축 척 |
1 : 2 |
1 : 5 |
1 : 10 | |||
1 : 20 |
1 : 50 |
1 : 100 | ||||
1 : 200 |
1 : 500 |
1 : 1000 | ||||
배 척 |
2 : 1 |
5 : 1 |
10 : 1 | |||
20 : 1 |
50 : 1 |
100 : 1 | ||||
선 : 제도 통칙에 따라 선의 종류, 모양, 굵기, 용도 등이 규정 ▷ 제도 통칙-한국 산업 규격(KS)에서 제도에 관한 규정 | |||||||
|
▷ 선의 종류와 용도 |
| |||||
|
종류 |
용도별 명칭 |
모 양 |
용 도 |
| ||
실선 |
굵은 실선 |
외형선 |
━━━━ |
물체의 보이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 |
| ||
가는 실선 |
치수선 치수보조선 지시선 |
──── |
치수, 각도, 가공 방법 등을 나타내는 선 |
| |||
해칭 |
|
물체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선 |
| ||||
파단선 |
부분 생략 또는 부분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 |
| |||||
파선 |
숨은선 |
------- |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 |
| |||
1점 쇄선 |
중심선 |
|
물체 및 도형의 중심을 나타내는 선 |
| |||
2점 쇄선 |
가상선 |
|
이동하는 부분의 이동 후 위치를 가상하여 나타내는 선 |
| |||
[4] 문자 : 명확하게 쓸 것 ① 도면에 쓰이는 문자 : 한글, 영문, 숫자 -영문 - 대문자 사용(필요 시 소문자 사용) -한글 - 고딕체, 명조체, 시스템체 ② 문자의 크기와 굵기는 도면의 크기와 기입할 곳의 위치를 고려해서 한다. ③ 가로 쓰기를 원칙 [5] 기호 : 제도 통칙에 규정( |
소단원명 |
2. 제도 통칙 |
학습 목표 |
1. 도면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와 용도를 이해한다. |
2. 도면의 치수 기입 방법과 기호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 |
3. 도면의 문자를 올바르게 쓸 수 있다. | |
[6] 치수 기입 ① 치수 기입에 필요한 선의 종류 : 치수 보조선, 치수선, 지시선 ㆍ치수 보조선 - 치수선을 긋기 위해 외형선을 연장한 선 ㆍ치수선 - 물체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물체의 외형선에 나란히 그은 선 ㆍ지시선 - 도면에 구멍의 크기, 가공 방법, 참고 사항 등을 기입할 때 ② 치수 기입법 ㆍ가로 방향의 치수 - 도면의 아래쪽에서 볼 때 바르게 보이도록 치수선의 위쪽 중앙에 기입 ㆍ세로 방향의 치수 - 도면의 오른쪽에서 볼 때 바르게 보이도록 치수선의 위쪽 중앙에 기입 ㆍ길이의 단위 - ㎜를 사용(단 단위는 생략) |
<출처:네이버오픈백과>
'업무상 필요한 지식, 자료,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드 좌표계 알기 (0) | 2014.03.06 |
---|---|
금형 설계의 절차및 방법 (0) | 2014.03.06 |
도면에 표면거칠기를 표시해보자 (0) | 2014.03.06 |
반사단열 (0) | 2014.03.06 |
범용 플라스틱 (0) | 201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