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트 기관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대기에서 얻어 고속의 연소 가스를 후방으로 분출시켜 그 반작용을 이용하여 추진하는 기관이다.
① 터보 제트 기관
② 터보 팬 기관
③ 터보 프롭 기관
④ 램 제트 기관
② 추진제
③ 용 도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대기에서 얻어 고속의 연소 가스를 후방으로 분출시켜 그 반작용을 이용하여 추진하는 기관이다.
① 터보 제트 기관
![]() |
가스 터빈의 반작용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기관으로, 항공기용 기관으로 주로 사용된다. |
![]() |
터보 제트 기관의 구조 |
② 터보 팬 기관
![]() |
가스 터빈의 반작용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기관으로, 항공기용 기관으로 주로 사용된다. |
![]() |
터보 팬 기관의 구조 |
③ 터보 프롭 기관
![]() |
가스 터빈의 출력으로 압축기와 프로펠러를 구동하여 추력을 발생시키고, 다시 터빈을 나온 배기를 후방으로 분출하여 추진력을 증가시키는 기관이다. 터빈 출력의 60∼70%가 압축기 구동에 쓰이고 나머지가 프로펠러의 구동에 사용된다. |
④ 램 제트 기관
![]() |
공기 중을 비행하는 물체의 전면에 있는 공기 취입구로 공기가 진입하면 공기가 압축되는데, 여기서 생기는 공기압을 램압이라 한다. 램 제트 기관은 이 램압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고 연료를 연소시켜서 추진력을 얻는 제트 추진 기관이다. |
![]() |
로켓 기관
① 동력 발생 원리
![]() |
자체 내에 저장된 로켓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 가스의 분출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기관으로, 동력 발생의 기본 원리는 제트 기관과 같다. 제트 기관이 연료만을 휴대하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대기 중에서 얻는 데 비하여, 로켓 기관에서는 연료 속에 산화제가 혼합되어 공기 또는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진공 속에서도 추진이 가능하다. |
![]() |
▲ 로켓 기관의 구조 |
![]() |
로켓 기관의 연료와 산화제를 합하여 추진제라고 하며, 고체 상태의 것과 액체 상태의 것이 있다. 액체 로켓은 고체 로켓에 비해 기구가 복잡하여 취급이 어려우나, 수십 분 간 연속 연소가 가능하여 임의로 연소 제어가 되므로 대형 로켓에 적합하다. |
③ 용 도
![]() |
로켓 기관은 대기가 없는 대기권 밖에서도 비행이 가능하므로, 현재 인공 위성이나 우주선 등의 추진 기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
<출처:네이버오픈백과>
'업무상 필요한 지식, 자료,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클기관 (0) | 2014.03.08 |
---|---|
가솔린 기관의 본체 (0) | 2014.03.08 |
내연기관의 피스톤 (0) | 2014.03.08 |
윤활 장치 개요 (0) | 2014.03.08 |
기관의 냉각 방법 (0) | 2014.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