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상 필요한 지식, 자료, 상식

치수공차

myulzul 2014. 3. 6. 21:15
제품을 가공할 때, 도면에 나타나 있는 치수와 실제로 가공된 후의 치수는 서로 일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또한 가공치수의 오차는 공작기계의 정밀도나 가공하는 사람의 숙련도, 기타 작업환경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제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실상 허용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미리 명시해 주는데, 이때 오차값의 최대허용범위와 최소허용범위의 차를 공차라고 합니다.

공차 = 최대허용범위 - 최소허용범위

아래는 공차를 표시하는 방법들입니다.

끼워맞춤공차,일반공차,한계치수공차 각각에 대해서 다음에 포스팅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고 이번엔

간단한 설명만 하겠습니다.

여기서 끼워맞춤이라는 뜻은

두개의 부품을 서로 끼워서 맞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때 공차를 끼워맞춤공차라고 하는데

이 공차의 크기에 따라 틈새와 죔새가 발생하게 되고

억지 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헐거운 끼워맞춤을 지정할 수 있게 하죠

끼워맞춤은 구멍을 가지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틈새 : 구멍의 치수가 축의 치수보다 클 때 나타나는 치수차.


죔새 : 구멍의 치수가 축의 치수보다 작을 때 나타나는 치수차.

헐거운 끼워맞춤 : 구멍이 축보다 항상 큰 경우 (항상 틈새만 발생)

중간 끼워맞춤 : 구멍이 축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가 발생

억지 끼워맞춤 : 구멍이 축보다 항상 작은 경우 (항상 죔새만 발생)

끼워맞춤 공차는 구멍과 축과의 관계를 알파벳기호로 사용하여 표현하도록 한 것입니다.(H7, g6, h7 등)

일반공차는 실질적인 허용 공차값으로 숫자로 직접 표기합니다. 기준값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엔 윗치수 공차 아래엔 아랫치수 공차를 적어줍니다.

일반공차는 실무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왜냐하면 끼워맞춤공차(H7 등..)로 주어지면, 현장에서 가공자가 일일이 공차값을 표에서 찾아서 적용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더 오래 걸리므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단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측정게이지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기입해줍니다.

한계치수공차는 기준값에 윗치수공차와 아랫치수 공차를 아예 계산해버려서 기준값을 써주지 않고 아예 최대허용치수와 최소허용치수만 괄호안에 써주는 것입니다.

 

<출처:네이버 오픈백과>

'업무상 필요한 지식, 자료,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강의 열처리  (0) 2014.03.06
기하공차  (0) 2014.03.06
표면거칠기, 일반공차 개념  (0) 2014.03.06
기계제도 테이텀이란  (0) 2014.03.06
끼워맞춤  (0) 2014.03.06